[현장돌직구]시니어일자리, 재정낭비 말고 中企서 답 찾아야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현장돌직구]시니어일자리, 재정낭비 말고 中企서 답 찾아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456회 작성일 21-09-06 11:21

본문

장년·노령층 경제활동 단절 소득도 절벽
그들 기술·노하우·경험도 함께 단절돼
젊은층 기피하는 중소기업 남는 일자리
‘재정일자리’ 대신 알선·근무체계 만들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중·장년층이 경제활동 대열에서 급속히 이탈되고 있다. 일자리를 잃은 이들은 소득절벽으로 인한 고통에 시달린다. 경제·사회적 안전망 구축에 천문학적 비용이 들게 생겼다.

또 이들이 현직에서 20~40 쌓아온 기술과 경험, 노하우, 직무능력 등이 사장되고 있다. 방법이 있다. 이들의 경력을 필요로 하는 중소·벤처기업에 연결하는 것. 당장 회사를 키워야 하는 중소·벤처에선 검증된 시니어인력 채용에 거부감이 없다.

최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이 기업 661곳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75.3%가 “현재 중·장년층 직원이 있거나 채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채용 이유는 50.6%(복수응답)가 ‘경력, 인적 네트워크 등 활용할 수 있는 역량’. 또 이직염려가 없고, 청년층이 꺼리는 업종도 마다하지 않았다. 중장년의 채용 만족도는 77%에 달했다.

대기업에 비해 낮은 처우로 발생하는 ‘일자리 불일치’로 중소기업계의 구인난은 고질적이다. 청년층이 찾지 않는 중소기업계에 중·장년층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 한 전기설비 제조 중소기업은 수 년 전 대기업 출신 대표·임원 등 경영진과 생산직에 시니어직원을 대거 채용했다.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했던 경영진은 그들이 보유한 능력을 사업 수주에 적극 활용해 실적을 높였다. 생산직 고령층 역시 숙련노동과 기술로 생산성을 끌어 올렸다.

벤처·스타트업 업계도 사례가 늘고 있다. 한 소프트웨어 개발 스타트업은 최근 IT개발팀 인력 다수를 4050 퇴직자들로 충원했다. 젊은 IT개발자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상황에서 고육책을 쓴 것. 하지만 채용효과는 높았다. 90년대 말 닷컴시대부터 활약했던 중장년 개발자의 실무능력이 현재 IT업계의 트렌드에 전혀 뒤지지 않았다. 현직에 있을 당시 관리책임자까지 오르며 쌓은 판단력과 네트워크도 십분 활용됐다.

한데도 정부의 준고령·고령자 일자리대책은 재정 퍼붓기 일색이다. 6개월 이하 단기 일자리 만들기에 예산을 쏟고 있다. 내년 노인·장애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용 공공일자리가 올해 101만개에서 105만개로 늘어난다.

고령층을 위한 제2의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선 우선 근로체계를 정교화 할 필요가 있다. 주 52시간제의 보완을 통해 시간제, 기간제는 물론 단축·연장근로 도입을 유연하게 해줘야 한다. 또 알선체계도 정비, 구인-구직을 쉽게 매칭시키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물론 기업들로선 일정 수의 청년직원을 필요로 한다. 중장년에만 의존해선 기업의 지속성·성장성을 확보하기 힘들다.

그래선지 내년 예산안에 청년일자리 관련 예산은 5조5000억원 배정됐다. 중소기업이 취약청년을 채용할 경우 연 최대 96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대상을 14만명으로 늘렸다. 청년내일채움공제 대상도 7만명을 신규 지원한다.

이에 반해 신중년, 중장년층 채용 기업 지원 예산은 미미한 수준. 향후 급증할 노인·복지 관련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시니어의 경제활동이 선순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다행히도 내년 최근 3년 평균을 초과하는 고령층 신규채용 시 분기별로 30만원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고령자고용장려금’이 신설됐다.

한 중소제조업 대표는 “젊은이는 물론 외국인근로자도 구하기 힘든 게 우리 현실”이라며 “경력이 풍부하고 회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이는 중·장년층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기사출처 : 헤럴드경제 유재훈 기자. 2021-09-06

해양경찰 퇴직지원센터 취업뉴스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