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한국 취업자 53.7세, “OECD 평균보다 10살 많아”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2050년 한국 취업자 53.7세, “OECD 평균보다 10살 많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396회 작성일 23-08-11 14:42

본문

취업자 고령화에 산업계 대비 절실… 정부도 대책 마련 나서야

▲16일 동대문디지털플라자에서 열린 '서울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현장. 채용공고게시대를 눈여겨 보는 중장년 구직자들의 모습.(이지혜 기자 jyelee@)원본보기
▲16일 동대문디지털플라자에서 열린 '서울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현장. 채용공고게시대를 눈여겨 보는 중장년 구직자들의 모습.(이지혜 기자 jyelee@)

우리나라는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고령인구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반면, 생산가능인구는 지속 감소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불균형은 노동 공급 감소, 취업자 고령화 등 국내 고용시장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 이니셔티브)는 인구구조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 취업자 고령화 현상에 주목해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산업별·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를 발표했다.

50세 이상을 중심으로 살펴본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산업별로는 저위기술 산업에, 지역별로는 대전·세종을 제외한 비수도권에 고령 취업자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산업별 분석 자료에서 2022년 전체 취업자 중 50세 이상 비중은 고위기술 제조업의 경우 20.2%, 중위기술은 38.7%, 저위기술은 47.6%였다. 세부적으로는 제조업에 속한 산업 중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등의 저위기술 산업에서 취업자의 절반 이상이 5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약(15.7%), 전자·컴퓨터·통신기기(18.2%) 등 고위기술 제조업에서는 고령층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 고위기술, 중위기술, 저위기술 분류는 산업연구원의 분류체계를 활용 [자료]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를 이용하여 SGI 자체계산(출처=대한상공회의소 SGI BRIEF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 산업별·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원본보기
▲[주] 고위기술, 중위기술, 저위기술 분류는 산업연구원의 분류체계를 활용 [자료]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를 이용하여 SGI 자체계산(출처=대한상공회의소 SGI BRIEF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 산업별·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

자료를 집필한 김천구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향후 20~30대 인구가 급감하는 인력공급 환경에서 젊은 인력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한 고위기술 제조업에서 구인난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자료를 기준해 보더라도 우리나라 인구 중 20~30대 비중은 2022년 26.3%에서 2050년 15.5%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다.

지역별 분포 자료에서 2022년 기준 취업자 중 50세 이상 비중이 50%를 넘어선 곳은 전남(58.7%), 강원(55.5%), 경북(55.2%), 전북(53.9%), 경남(51.7%) 등 모두 비수도권이었다. 이에 반해 서울(38.5%), 인천(42.6%), 경기(41.7%) 등 수도권과 대전(41.4%), 세종(34.5%) 지역은 5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고령화 진행 속도 면에서 살펴보면, 지역 중 취업자의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지역은 강원과 경남이었고, 서울의 경우 지난 10년간 6.8%p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타 지역 대비 취업자의 고령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자료 등을 토대로 2050년까지 취업자의 평균 연령 변화를 계산했다. 그 결과 2022년 우리나라 취업자 평균 연령은 약 46.8세이며, 고용률이 2022년 수준을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향후 2050년 국내 취업자의 평균 연령은 53.7세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시기별로는 2030년 49.0세, 2040년 51.3세 등으로 예측된다. 한편 한국과 OECD국의 인구구조 등을 토대로 비교·분석한 자료를 보면, 2022년 취업자 평균연령 차이는 2022년 4.2세에서 2050년 9.9세까지 벌어진다.

(출처=대한상공회의소 SGI BRIEF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 산업별·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원본보기
(출처=대한상공회의소 SGI BRIEF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 산업별·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
▲[주]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2022년 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 [자료] OECD ‘Labour Force Statistics’ ‘Population Projection’, 통계청 ‘ 장래인구추계’ 등을 이용하여 SGI 자체계산(출처=대한상공회의소 SGI BRIEF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 산업별·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원본보기
▲[주]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2022년 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 [자료] OECD ‘Labour Force Statistics’ ‘Population Projection’, 통계청 ‘ 장래인구추계’ 등을 이용하여 SGI 자체계산(출처=대한상공회의소 SGI BRIEF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 산업별·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

김천구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취업자 평균연령은 2050년 53.7세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OECD국 평균인 43.8세보다 약 9.9세 높은 수치다. 우리나라의 취업자가 고령화된다는 것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공급하는 젊은 인력이 부족해지고, 기업들의 생산성이 저하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정책제언’을 통해 △저출산 대책 효율화 △고령층 생산성 유지 방안 마련 △임금체계 개편 △외국인 전문인력 유입 △지역 특화 미래전략산업 유치와 인력공급 패키지화 등을 제시하며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술변화 속도가 빨라지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대한상의 SGI 박양수 원장은 “국내 경제의 구조적 문제인 저출산·고령화, 주력산업 경쟁력 저하, 지역소멸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SGI는 출산율 제고방안, 지역 산업역동성 회복, 혁신인재 공급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국가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사출처: 브라보마이라이프, 이지혜 기자, 2023.08.10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취업뉴스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