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분야 인력난, 시니어가 나서야...경제성장률 유지, 90만여명 부족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복지분야 인력난, 시니어가 나서야...경제성장률 유지, 90만여명 부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325회 작성일 24-03-22 16:20

본문

[이모작뉴스 김남기 기자] 앞으로의 10년간 우리 노동시장은 중대한 변화에 직면할 것이며, 이는 특히 돌봄과 복지 분야에서 시니어의 역할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은 2028년부터 본격적인 노동력 감소로 인해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이며, 2032년까지 필요한 추가 인력은 89.4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22~2032)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32년까지 경제활동인구는 31.6만 명 증가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는 지난 10년간의 증가 폭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로, 특히 2028년 이후에는 경제활동인구의 감소가 예상된다. 이는 단순히 인구수의 감소뿐만 아니라 고령층 비중의 확대 같은 구성효과로 인해 노동 공급에 더 큰 제약이 될 것으로 보인다.

 

ba891d2b08415dd0f58b74e87ee3587b_1711091931_0403.jpg
중장기 인력수요 전망.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산업별로는 고령화와 돌봄 수요의 증가에 따라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취업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면에 온라인 거래의 활성화와 같은 산업구조의 전환으로 인해 도소매업과 제조업에서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직업별로는 고숙련 수요의 증가와 산업의 서비스화로 인해 전문가와 서비스직에서 취업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반면에 온라인화와 자동화의 영향으로 판매직, 장치 및 기계 조작, 조립직, 기능원 등에서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 필요인력 전망

추가 필요 인력에 대한 전망은 특히 중요하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이번에 처음으로 2032년까지 우리 노동시장에서 추가로 필요한 인력의 규모를 예측했다.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89.4만 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보건복지서비스업 및 전문가 직종에서 특히 많을 것으로 보인다.

ba891d2b08415dd0f58b74e87ee3587b_1711091969_7494.jpg
2022~2032 취업자 수 및 추가 필요인력 전망.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우리 사회는 2025년에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노동시장은 더욱 큰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이에 대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은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업종 및 직종별 정밀한 수요 예측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했다.

김영중 원장은 이번 인력 수급 전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노동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세심한 대응이 필요함을 명확히 했다. "이번에 추가 필요 인력 규모를 최초로 전망하는 것은,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노동력 공급의 제약과 그로 인한 경제성장의 잠재적 위협을 명확히 인식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기업의 구인난이 심화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사회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심각한 문제이다."라고 덧붙였다.

추가 인력 대응 방안

원장은 또한, 인구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의 참여와 협력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적 노동력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정책들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업종과 직종별로 세분된 인력 수요 예측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인력 배치와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고용정보원은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발표는 노동시장에 대한 깊은 통찰과 앞으로 필요한 정책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의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중 원장의 발언은 노동시장의 미래를 준비하는 데 있어 우리가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할 중요한 과제들을 상기시키며,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ba891d2b08415dd0f58b74e87ee3587b_1711091997_3677.jpg
노노케어 ⓒdall-e 


기사 출처 : 이모작뉴스, 김남기 기자, 2024.03.21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