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독립 못한 어른 '캥거루족', 30대·남성·수도권일수록 높았다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경제적 독립 못한 어른 '캥거루족', 30대·남성·수도권일수록 높았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356회 작성일 24-06-07 15:56

본문

고용정보원, 2024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 개최

2020년 기준 20~39세 10명 중 6~7명 캥거루족

캥거루족 탈출 가능성, 여성·고학력·취업자일수록↑

"양질의 일자리에서 소득 관리할 환경 마련돼야"

[서울=뉴시스] 연도별 캥거루족 분포 추이. 2024.06.05.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연도별 캥거루족 분포 추이. 2024.06.05.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지난 2020년 기준 20세~39세 성인남녀 10명 중 6명은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한 '캥거루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30대, 남성, 수도권 거주일수록 캥거루족 비중이 높았다.

한국고용정보원은 5일 오전 서울대학교에서 이 같은 연구를 포함한 '2024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청년 노동시장 ▲중고령자 노동시장 ▲중고령자 삶의 질 ▲고령자 건강 ▲청년 삶의 질 ▲니트족과 사회적 배제 ▲청년 진로·직업 ▲학생 논문경진대회 수상작 등을 9개 발표분과로 나눠 22편의 전문가 논문과 6편의 학생 논문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된다.

우선 황광훈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청년패널조사로 본 2030 캥거루족의 현황 및 특징: 누가 캥거루족이 되고, 누가 캥거루족에서 벗어나는가'를 발표한다.

청년패널을 사용해 분석한 결과, 2020년 기준 2030세대의 캥거루족 비중은 64%였다. 비캥거루족은 36%였다. 10명 중 6~7명은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함께 거주하고 있는 것이다. 


남성이 여성보다, 고졸이하 저학력층이 대졸자보다,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수도권 거주자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캥거루족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았다.

특히 캥거루족은 최근 들어 20대 중후반보다 30대 초중반 연령대에서 증가세가 뚜렷하게 보이고 있다. 취업자 내에서도 고용지위가 불안정한 청년이 비중이 높았고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고임금 청년층일수록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캥거루족 탈출 가능성은 여성, 고학력층, 기혼, 비수도권 거주, 취업자일수록 높았다.

황 부연구위원은 "이러한 현상은 만혼이나 비혼주의 현상과 맞물려 작용하게 되고, 결국 이들 중 상당수는 경제적 기반이 약화되어 빈곤상태로 전환되거나 청년니트로 이행하게 되는 등 취약한 사회계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실적으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있는 청년들 중 대다수는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어렵고 주거비를 절감하는 차원에서 캥거루족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일자리 문제를 떼놓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에서 자신의 소득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밖에도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송스란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의 '중장년 1인 가구의 사회적 배제 현황 분석' 연구도 발표됐다.

송 연구원에 따르면, 중장년 1인 가구의 경우 유사한 조건을 가진 다인 가구 구성원에 비해 경제적 배제와 사회관계망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건강 부문에서도 부분적인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장년 1인 가구는 가구 총 소득과 경제 상태 만족도가 낮고, 월세에 거주할 확률이 높았으며 흡연량과 음주 빈도가 높았다.

한명희 동양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의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은퇴 후 우울 예측 모형' 연구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우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 건강상태, 구강건강 상태, 규칙적인 운동,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 요인이 우울 여부에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고, 건강상태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이 없는 경우는 우울 비율이 13.5%로 가장 낮았다.

반면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고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낮아 주변에 의존해야 하는 남성의 경우, 우울 비율이 58.5%로 가장 높았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국내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논문 경진대회 수상식도 열렸다.

총 20편의 논문이 접수됐고, 6편이 선정됐다.

최우수 논문(고용노동부 장관상)으로는 고려대학교 임예림, 이나연, 박성민 학생의 '잠재전이모형을 활용한 코로나19 시기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 유형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검증'이 선정됐다.

우수논문 2편과 장려논문 3편을 포함해 수상작으로 선정된 6편에 대해서는 상장과 상금이 수여된다.

김영중 고용정보원장은 "고용정보원에서는 청년층과 중고령자에 대한 패널 및 횡단 표본을 구축해 추적 조사하고, 각 연령층에 적합한 고용 및 복지정책 등의 수립과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며 "올해로 23회를 맞이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와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고 이론과 정책이 통합되는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출처 : 뉴시스, 고홍주 기자, 2024.06.05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