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뒤 대한민국 2명 중 1명은 고령…노년부양비 4배 폭증(종합)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50년 뒤 대한민국 2명 중 1명은 고령…노년부양비 4배 폭증(종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113회 작성일 24-09-24 13:31

본문

통계청,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고령인구 비중 올해 19.2%→2024년 47.7%

총부양비 2.8배·노년부양비 3.8배 증가 전망

작년 합계출산율 0.72명…마카오 제외 최저

세계 인구 25% 늘때 韓 5200만→3600만명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노인의 날인 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주변에 어르신들이 무료급식을 기다리는 줄을 서고 있다. 2023.10.02. kmx1105@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노인의 날인 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주변에 어르신들이 무료급식을 기다리는 줄을 서고 있다. 2023.10.02. kmx1105@newsis.com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2072년 한국인구 2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감당해야하는 총부양비는 3배, 노년부양비는 4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 세계 인구는 25%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반대로 현재 5000만명이 넘는 우리나라 인구는 3600만명 수준까지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2명에 그쳐 도시국가인 마카오를 제외하면 세계 국가 중 낮은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2072년 한국 고령인구 비중 47.7%…총부양비 2.8배 폭증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한국 인구 중 고령인구 구성비는 올해 19.2%에서 2072년 47.7%로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인구의 고령인구 구성비가 같은 기간 10.2%에서 20.3%로 증가하는 속도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것이다.

한국의 유소년인구 구성비는 올해 10.6%에서 2072년 6.6% 수준으로 낮아지는 반면, 고령인구 구성비는 올해 19.2%에서 계속 증가해 2072년 47.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인구(유소년인구+고령인구) 비율인 한국의 총부양비는 올해 42.5명에서 2072년에는 118.5명으로 올해 대비 2.8배 수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의 총부양비가 1.2배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과 비교하면 속도가 상당히 가파른 셈이다.

노년부양비의 경우는 더욱 빠르게 증가해 올해 27.4명에서 2072년 104.2명으로 올해 대비 3.8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세계(2.1배)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이에 따라 한국의 총부양비 순위는 올해 208위에서 2072년 3위로, 노년부양비는 56위에서 3위로 크게 오를 전망이다.

한국 인구의 중위연령은 올해 46.1세에서 2072년 63.4세로 15.4세 높아진다. 세계 인구의 중위연령이 올해 30.6세에서 2072년 39.2세로 8.6세 높아지는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빠르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작년 韓 합계출산율 0.72명…마카오 제외 시 '세계 최저'

합계출산율이 빠르게 줄면서 이같은 경향은 가속화하고 있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3년 0.72명으로 1970년 4.53명에 비해 3.81명(-84.1%) 감소했다. 한국의 2023년 합계출산율(0.72명)은 유럽(1.40명)과 북아메리카(1.60명)와 비교해도 절반에 그친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명으로 세계 국가(지역) 중 90위 수준이었으나, 2000년 1.48명(32위)으로 합계출산율이 낮아졌다.

세계의 합계출산율이 2023년 2.25명으로 1970년 4.83명에 비해 2.57명(-53.3%) 감소했지만 여전히 2명대 후반을 유지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작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마카오(0.66명)를 제외할 경우 세계 최저로 추정된다.

기대수명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2022년 82.7세로 1970년 62.3세에 비해 20.5세(32.9%) 증가했다. 세계의 기대수명은 2022년 72.6세로 1970년 56.3세에 비해 16.4세(29.1%) 증가하는 수준을 훌쩍 뛰어넘는다.

1970년 한국의 기대수명(62.3세)은 북아메리카(70.9세)나, 유럽(70.3세)보다 각각 8.6세, 8.0세 낮은 수준이었으나 2022년 한국의 기대수명(82.7세)은 북아메리카(78.3세), 유럽(78.2세)보다 각각 4.4세, 4.6세 높은 수준이다.

세계인구는 2072년 102억2000만명으로 전망된다. 올해 81억6000만명에서 꾸준히 증가한 결과다. 같은 기간 한국 인구는 올해 5200만명에서 2072년 3600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남한과 북한의 인구를 다 합쳐도 올해 7800만명에서 2072년 5900만명으로 크게 감소한다.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올해 1.0%에서 2072년 0.6%로 줄어들 전망이다.

한편 올해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는 인도(14억5000만명)로 중국(14억2000만명)을 앞섰다. 인도 인구는 2022년부터 중국을 뛰어 넘었다. 세계 인구에서 인도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7.8%에 달한다.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서울 시내의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모습. 2024.04.24.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서울 시내의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모습. 2024.04.24. xconfind@newsis.com




기사출처 : 뉴시스, 용윤신 기자, 2024.09.23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