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식당 아니면 할 게 없다고?”…직장 경력 살리면 “정년 있어도 은퇴 없다”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택시·식당 아니면 할 게 없다고?”…직장 경력 살리면 “정년 있어도 은퇴 없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67회 작성일 24-11-15 13:40

본문

한국 내달 초고령사회 진입
저출산이 고령화 가속페달
베이비부머 1600만명
일꾼으로 활용도 높여야
1노인경제삽화
1노인경제삽화

정보기술(IT) 기업 SSMM의 원덕환 연구개발부장(60)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음성 변조를 탐지하는 앱을 개발하고 있다. 그는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30년 가까이 학원에서 가르치는 일을 했다. 운영하던 학원이 코로나19 여파로 폐업하자 지난해 서울시 시니어 인턴 프로그램에 지원해 SSMM에서 3개월간 인턴으로 근무했다.

그의 경륜과 능력이 경영진이 눈에 띄어 두 달 뒤 과장이 됐고, 곧 부장으로 올라갔다. 원 부장은 “인턴으로 입사했을 때 회사 대표보다 10살 넘게 많았다”며 “부족한 기술을 익히기 위해 밤늦게까지 독학했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30년 넘게 공무원으로 일했던 김무영 씨(69)는 퇴직 후 ‘나무 치료사’로 변신했다. 낯선 직업이지만 이 직업을 알게 된 김씨는 “딱 내가 할 일”이라고 무릎을 쳤다. 2018년, 공공 수목의 경우 나무 전문가를 통해 관리하도록 관련법이 정비되자, 김씨는 수목치료기술자를 따고 나무병원을 열었다. 김씨는 “직장에서 얻은 지식과 능력을 활용할 수 있어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14일 관련 통계에 따르면 1600만명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74년 출생)가 속속 고령화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을 기준으로 고령인구비율이 이르면 오는 12월 20.0%에 도달한다. 8월 19.6%, 9월 19.7%, 10월 19.8%로 매달 0.1%포인트씩 높아지고 있다. 2000년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7%), 2017년 고령사회(14%)에 진입한 한국은 저출생 영향으로 초고령사회(20%) 진입 시점이 2년 빨라졌다.

인구 고령화는 노동력 감소과 부양비용 증가로 사회 전반의 활력을 떨어뜨리지만, 베이비부머들은 이전 세대와 달리 교육수준이 높고, 자산이 많으며, 건강을 중시하고, 정년 후에도 일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매일경제는 베이비부머를 W세대(Wisdom·Wealth·Well-being·Work)로 명명하고, 앞으로 이들이 초고령사회에서 새로운 일꾼이자 주역으로 자리매김하는 방안을 제시해 나갈 예정이다.

기사출처 : 매일경제, 최재원 기자 외, 2024.11.14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달 29~31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베이비부머 세대 54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0%(485명)가 ‘정년 이후 근로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이두희 고려대 명예교수는 “현재 60~70대는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건강하다”면서 “활력있는 시니어들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정부와 기업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