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나더러 손주나 돌보래?”…직장생활 거뜬하다는 이 세대, 얼마나 되길래
페이지 정보
본문
희망 은퇴 연령은 70세
희망 급여 “종전 70~80%”
일 통해 자존감·보람 추구
자가운전 75세까지 원해
초고령사회 대한민국의 주역인 W세대(1955~1974년 출생)는 아직 스스로 노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들이 생각하는 노인의 기준은 65세가 아니라 70세이기 때문이다. 이전 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은 이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고, 업무능력도 30·40대 못지 않다고 느낀다. 자녀들로부터 부양받을 기대를 거의 하지 않는 이들은 손주 돌보기보다 일을 통해 자존감과 보람을 찾으려는 욕구가 강하다.
매일경제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달 29~31일 1955년부터 1974년 사이 출생한 W세대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한 결과, 희망 은퇴 연령으로 70세를 꼽은 응답자가 210명(43.3%)으로 가장 많았다. 희망 은퇴 연령을 70세로 꼽은 비율은 남성(43.5%)과 여성(43.1%)이 엇비슷했다.
W세대가 생각하는 은퇴 시기는 노인 기준과 일맥상통한다. 노인 기준을 묻는 설문에 ‘70세부터’라고 응답한 비율이 53.7%로 절반을 넘었다. ‘75세부터’라고 응답한 비율도 21.3%에 달했다. ‘희망 자가운전 연령’도 70세(31.5%)와 75세(33.7%)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W세대가 생각하는 노인의 기준은 70세인 만큼, 이 때까지는 일을 하고 운전도 하고 싶다는 것이다.
‘손주 돌봄과 근로 중 선택해야 한다면 무엇을 원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90.0%가 ‘근로’를 선택했다. ‘자녀로부터 지원받을 생각이 있는가’라는 질문엔 81.7%가 ‘없다’고 답했다. 개인연금(펀드·보험) 가입비율은 55.7%였다. 경제적으로 자녀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신 손주 양육에 대한 부담도 지고 싶지 않은 게 이들의 솔직한 생각인 셈이다.
이전 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건강 등 자기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W세대는 일에 대한 자신감도 넘친다. 업무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후배들에게 밀리지 않는다고 스스로 믿고 있는 것이다. 실제 ‘당신의 현재 업무능력은 20~40대 시기에 비해 어느 수준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41.3%가 ‘비슷하다’고 답했다. ‘더 낫다’고 답한 비율도 10.3%였다. 법적 정년후 원하는 일로는 대다수가 ‘기존 업무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곳’(43.1%)이나 ‘기존 직장에서 계속 근무’(34.8%)를 원했다.
젊은 세대 못지 않게 일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만큼 정년 이후 희망 급여 수준도 높은 편이다. ‘종전 대비 70~80%’으로 꼽은 응답자가 60.8%로 가장 많았다. 최근 이중근 대한노인회장이 취임일성으로 정년 연장을 주장하면서 “65세에서 75세까지를 임금피크제 구간으로 만들어 첫해에는 기존 급여의 약 40%, 75세에는 20% 정도를 받도록 하자”고 제안한 것과는 거리감이 있다. 고령자 취업에 있어서도 청년층과 마찬가지로 현실과 원하는 눈높이 사이의 괴리가 문제임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20년 3737만명이었던 생산연령인구는 2030년 3381만명으로 줄어들고, 2070년에는 1737만명까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인구구조 변화가 장기 거시경제 추세에 미치는 영향(2022년)’ 보고서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 늘면 경제성장률은 0.2~0.5%포인트 하락한다고 전망했다.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에 직면한 한국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약 1600만명의 베이비부머를 조기 은퇴 대신 일꾼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경제성장률 하락 폭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고령층 고용연장 제도와 관련된 사회적 합의를 본격화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일본의 경우 법적정년은 만 60세이지만 2013년 ‘고령자고용안정법’을 개정해 기업들이 △65세로 정년 연장 △65세까지 계속 고용(재고용) △정년 폐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2021년에는 근로자가 원할 경우 70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기업에 ‘노력할 의무’를 규정했다.
은퇴 전문가인 김경록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은 “일본의 계속 고용은 의무는 아니고 권고”라면서 “다만 일본은 정부가 권고만 해도 기업들이 따르는데, 한국은 그렇지 않으므로 정년 연장이나 재고용을 법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노조는 높은 임금구조를 유지한 채 정년연장을 주장하는데, 정년연장은 임금체계 개편과 함께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니어 일자리가 정부와 민간 기업 사이에서 균형 있게 늘어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오영선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2004년부터 정부가 도입한 노인 일자리 사업은 참여자 수가 100만명까지 늘었으나, 임금 수준이 매우 낮은 편”이라며 “시니어가 적극적으로 일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민간 기업의 채용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출처 : 매일경제, 최재원 기자, 2024.11.15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사진, 여행, 요리를 노후 직업으로… 취미로 노후를 준비하는 중년들 24.11.18
- 다음글"예순 넘어도 현역입니다" 日, 시니어 채용해 저숙련 해결 [초고령사회 新노년이 온다] 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