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원 "귀농·귀촌 희망자, 국비 지원 이론·실습 교육 받으세요"
페이지 정보

본문
2025년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생 모집
영농 경험 부족 귀농·귀촌 희망자 대상
품목특화·기초기술·자격증연계 등 과정
국비 70% 지원…근로실습비 20만원도
![[세종=뉴시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귀농·귀촌 희망자 대상 이론·실습 교육 프로그램인 '2025년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 참가생을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사진=농정원 제공) 2025.05.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5/14/NISI20250514_0001842134_web.jpg?rnd=20250514142915)
[세종=뉴시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귀농·귀촌 희망자 대상 이론·실습 교육 프로그램인 '2025년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 참가생을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사진=농정원 제공) 2025.05.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귀농·귀촌 희망자 대상 이론·실습 교육 프로그램인 '2025년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 참가생을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은 영농 경험이 부족한 귀농·귀촌 희망자를 대상으로 영농 교육과 농업 일자리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교육 과정은 총 80시간으로, 귀농·귀촌 관련 이론교육(대면·비대면 병행)과 현장 실습교육으로 구성된다.
교육은 품목 특화, 기초 기술, 자격증 연계 등 세 가지 과정으로 운영된다.
품목특화 과정은 귀농·귀촌에 필요한 사례 중심 이론교육과 함께, 지역별 우수 농가를 방문해 고소득 품목 재배 등을 위한 영농 기술을 배우고 직접 체험한다.
기초기술 과정은 농업·농촌 현장에서 자주 활용되는 지게차, 굴삭기, 로더(적재기) 등 소형농기계를 전문교육기관에서 24시간 실습·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자격증 연계 과정은 귀농·귀촌 시 취업 및 창업에 도움이 되는 대표 자격증(유기농업·종자·버섯종균 기능사)을 취득할 수 있도록 이론교육과 관련 농장 체험교육으로 구성했다.
교육생은 각자 원하는 과정을 선택해 수강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직장인이나 학생 등 평일에 시간을 내기 어려운 예비귀농·귀촌인이 손쉽게 교육을 접할 수 있도록 평일반뿐만 아니라 주말반과 야간반도 함께 운영한다.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비는 국비로 70%가 지원되며, 교육비의 30%인 21만5000원만 납부하면 된다.
체험 과정을 성실하게 참여할 경우 최대 약 20만 원의 근로실습비를 받을 수 있다.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은 귀농·귀촌 통합플랫폼 '그린대로'(www.greendaero.go.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귀농귀촌종합센터(02-2058-2851) 혹은 교육기관인 팜러닝(02-782-7821)으로 문의하면 된다.
송근석 귀농귀촌종합센터장은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은 귀농·귀촌에 필요한 필수 지식을 이론과 실습으로 배울 수 있는 대표적인 교육 중 하나"라며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분이라면 연중 진행되는 교육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령=뉴시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귀농·귀촌 희망자 대상 이론·실습 교육 프로그램인 '2025년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 참가생을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사진은 청년 귀농인 김경태(왼쪽)씨, 이상현 씨. (사진=의령군 제공) 2024.12.29.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4/12/29/NISI20241229_0001739327_web.jpg?rnd=20241229212004)
[의령=뉴시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귀농·귀촌 희망자 대상 이론·실습 교육 프로그램인 '2025년 농업 일자리 체험 교육' 참가생을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사진은 청년 귀농인 김경태(왼쪽)씨, 이상현 씨. (사진=의령군 제공) 2024.12.29.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출처 : 뉴시스, 박광온 기자, 2025.05.14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한국 '삶의 질' 또 밀렸다…193개국 중 세계 OO위 25.05.14
- 다음글시설원예자격 응시 5년새 159% 증가…화훼장식자격 인기는 '뚝' 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