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세울 것 새로운 것 찾아 일자리 만들기 온 힘
페이지 정보
본문
신안군 해상풍력 이익 공유제...청년층 전입혜택 주며 적극적
담양군 대나무 활용 산업 육성 30∼40대 귀농·귀촌 증가 눈길
완주군 로컬푸드·마을기업 성과...지난해만 3637가구 4793명 정착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인구는 5182만 9023명이다. 1년 새 2만 838명 줄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출생아 수는 약 27만 명이고 사망자 수는 약 30만 명을 기록했다. 사상 처음으로 출생자가 사망자보다 적은 현상 '인구 데드크로스'가 발생한 것이다. 올해 5월 인구 동향을 보면 출생아 수는 2만 2052명이다. 66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사망자는 5%가 증가해 12년래 최대 폭이다. 이렇듯 인구 감소세가 뚜렷해지면서 지방자치단체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비수도권 중소도시들은 존립을 걸고 지역소멸에 대응하는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경남지역에서도 대안을 찾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창원시가 내놓은 결혼드림론이 가장 파격적이다. 올해 초 발표된 결혼드림론은 결혼 때 1억 원을 대출한 부부가 3년 내 첫째 자녀를 낳으면 이자를 지원하고, 10년 내 둘째 자녀를 출산하면 대출원금 30% 상환을 지원한다. 또, 10년 내 셋째 자녀를 출산하면 1억 원 전액 상환을 지원하는 조건을 내세웠다. 창원시 인구는 2011년 110만 명, 2015년 105만 명, 2020년 103만 명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다. 창원시로서는 인구 100만 명이 무너지면 특례시 자격을 잃을 수도 있어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는 처지다.
출생률을 높이고자 출생축하금 같은 직접 지원을 하는 자치단체와 달리 인구소멸에 대응하는 새로운 시도들도 눈에 띈다.
희망제작소는 수도권 과밀화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여러 자치단체의 지역소멸 위기 대응 사례를 발굴해 소개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희망제작소가 추천한 사례는 △산학협력형 거창군 승강기 밸리 △지역자원활용형 전남 담양군 대나무산업 △농업혁신형 전북 완주군 로컬푸드 △에너지전환형 전남 신안군 해상풍력 △신산업유치형 강원 횡성군 전기차 등이다.
◇거창군 산학협력형 승강기 밸리 = 거창군은 2005년 한국폴리텍7대학 거창캠퍼스를 기능 전환해 세계 최초 승강기 전문대학으로 만들었다. 승강기대학은 승강기 집적화 단지와 승강기 연구개발(R&D)센터와 함께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 거창군의 승강기 산업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최근 5년 동안 신입생 2000여 명을 유치했는데, 이 중 거창지역 입학생 비율은 6%인 반면 수도권 32.2%, 부울경(거창 제외) 23.4%, 기타 광역권에서 38.4%를 차지했다. 신입생 대부분은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주소를 옮겨 거창군 인구증가에 이바지하고 있다.
또 2012년 1차 일반산업단지(22만㎡)에 23개 승강기 기업이 참여해 문을 연 승강기산업 집적단지 성과는 2017년 2차 승강기전문산업단지(32만 280㎡) 추가 조성과 37개 기업 입주로 이어졌다. 군은 100개 업체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2019년 거창승강기밸리가 승강기산업 특구로 지정돼 800억 원을 들여 3개 분야 11개 특화사업을 추진, 1253명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담양군 지역자원활용형 대나무산업 = 담양군은 지역자원을 잘 활용한 유형이다.
담양군은 최근 5년간 인구의 순유입과 귀농·귀촌 인구의 평균 유입량이 늘어 관심을 받은 곳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를 보면 지역재생잠재력지수 상위 62곳 가운데 최근 5년간 인구 순유입 지역 26곳과 귀농·귀촌 증가지역 14곳에 담양군이 포함됐다. 특이한 점은 30∼40대의 젊은 층 귀농·귀촌도 늘고 있다는 점이다.
담양군의 산업별 비중은 1차산업 60%, 2차산업 12%, 3차산업 28%. 1차산업 비중이 높은 친환경 농업지역, 특히 건강한 대나무가 자라는 생태자연 지역이다. 담양 대나무 밭은 2014년 국가중요농업유산 제4호로 지정됐고, 지난해 대나무 품목으로는 처음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선정됐다.
올해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지역균형 뉴딜 우수사업' 공모에서 '대나무 R&D 기반 구축 및 녹색환경 전환사업'이 뽑혔다. 담양군은 2023년까지 총사업비 15억 원을 투자해 대나무 연구시설 및 인력 확충, 기후변화 대응식물로서 다양한 대나무 자원 확보,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대나무산업 기술개발 등을 추진한다.
◇완주군 농업혁신형 로컬푸드 = 완주군은 로컬푸드와 마을기업으로 인구감소를 막아내고 있다.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고 싶어도 먹고살 만한 일자리가 없는 현실에서 농업·농촌 혁신을 바탕으로 일자리를 만든 사례다.
완주 로컬푸드에 참여한 농가(지난해 말 기준)는 1700여 가구이며, 소비자 회원은 8만 명에 이른다. 소농도 로컬푸드로 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 귀농·귀촌하는 인구도 늘었다. 지난 한 해 완주군으로 귀농·귀촌한 인원은 3637가구, 4793명이다. 이는 전북 귀농·귀촌인의 약 22%를 차지하는 수치이며, 전북지역 평균의 3배에 달한다.
2012년에 탄생한 '마더쿠키'는 2013년 우수 마을기업으로 지정됐다. 국내 쌀과 밀로 빵을 제조해 판매하며 연 매출은 2019년 기준 9억 7000만 원에 이른다. 종사자 12명 중 9명이 이주여성과 노인, 미취업 청년이다.
◇신안군 에너지전환형 해상풍력 = 신안군은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익 주민공유제를 시행하면서 7년 만에 인구가 39명 늘어났다.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익 주민공유제는 일정 비율 참여한 지역주민에게 그만큼 되돌려 주는 개념이다. 500㎾ 이상 태양광발전소나 3㎿ 이상 풍력발전소를 설치할 때 자기자본의 10%(혹은 총사업비의 2%) 이상이나 자기자본의 20%(혹은 총사업비의 4%) 이상 지역주민이 참여할 경우 재생에너지발전인증서(REC)를 0.1 혹은 0.2만큼 추가 부여한다.
주민당 12만 원에서 많게는 51만 원씩 분기별로 배당을 받는다. 덕분에 개발이익 주민공유제도를 운영하는 안좌도와 자라도에는 인구가 늘고 있다. 연고가 있는 사람들이 고향으로 되돌아오고 있는 형태다. 신안군은 30세 미만 가구가 전입하면 즉시 개발이익공유제 혜택을 받도록 해 청년세대의 전입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
◇횡성군 신산업유치형 전기차 = 횡성군은 민선 7기 출범 이후 농촌지역의 고령화·청년유출·일자리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목표로 이모빌리티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발굴했다.
초소형 전기완성차 생산기업과 부품기업 8개가 이전했으며, 이모빌리티 기업지원센터와 전기차 개발지원센터 구축, 지식산업센터, 자율주행 시범지구 지정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들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10월 정부 상생형 일자리로 선정된 데 이어 초소형 전기완성차 '포트로'가 횡성 우천일반산업단지에서 본격적인 양산 체제에 들어갔다. 더불어 이모빌리티 산업생태계 조성,이모빌리티 산업 고도화, 강원형 일자리 조기 정착 및 안정화 지원 등 3개 분야 18개 사업으로 나눠 총 3500억 원 규모의 투자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횡성군은 이모빌리티 산업의 거점도시를 구축하며 인구소멸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 체험형 테마단지를 비롯해 이모빌리티 연구소 신축, 카트레이싱 파크 조성은 지역 대표산업과 관광이 연계된 지역발전 모델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지원받았습니다.
기사출처 : 경남도민일보 김태섭 기자. 2021-08-06
관련링크
- 이전글[기고]100세 시대와 산림 일자리 21.08.09
- 다음글‘60살 이후의 나’를 위해 꼭 챙겨 먹어야 할 것들 21.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