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2025년 단순노무·서비스 일자리 21만개 사라져"
페이지 정보
본문
KDI "단순노무직 비중 높은 고령층 타격…취약계층 보호정책 필요"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코로나19가 초래한 고용 충격으로 오는 2025년까지 단순노무직 등 일자리가 20만개 넘게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발간한 '코로나 위기가 초래한 고용구조 변화와 전망' 보고서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기술 변화로 오는 2025년까지 단순 노무·서비스직 노동수요가 21만명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고용시장이 기존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가정하고 산출한 2025년 기준 직업별 고용 비중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고용구조 변화를 반영한 직업별 고용 비중을 비교해 올해 3분기 계절조정 취업자 수(2천704만명)를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다.
KDI는 "기술 발전은 비용이 많이 드는 대면 근로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런 변화는 단순 노무·서비스 직군의 노동수요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은 재택근무 등 비대면 근로 전환이 어려운 일부 서비스 업종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1년간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42만8천명 감소했는데, 숙박음식점업(-21만7천명)과 도소매업(-17만7천명) 취업자 수가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고용 충격은 교육 수준별로는 고졸 이하(-46만3천명)에서,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직(-38만1천명)에서 각각 가장 컸다.
특히 코로나19 시기 재택근무 비중이 작은 산업일수록 직업 생산성이 떨어졌는데, 직업 생산성이 한 단계(1표준편차) 내려갈 때마다 고용은 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19 확산에도 재택근무가 용이한 산업에선 상대적으로 경제활동의 제약이 크지 않았다.
고용구조 전환에 따른 영향은 단순 노무·서비스업 종사자 비중이 가장 높은 60대 이상 고령층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됐다.
KDI는 "60대 이상이 주로 종사하는 단순 노무·서비스업에서 노동 수요가 감소하면 직업 전환이 어려운 경제 주체들에게 작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자영업 등에서 저숙련 근로자들이 일할 곳이 줄어들면 플랫폼 시장으로 노동 공급이 몰려 근로 여건이 더 악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용 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고 경제적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 출처: 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2021.11.09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취업뉴스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일자리가 변한다] 플랫폼 산업 급성장…일자리·노동력 블랙홀 21.11.10
- 다음글[기고]메타버스 시대, 직업교육으로 대응해야 21.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