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5명 중 1명 "사비로 간부 식사 대접"…원인은 "관행 탓"
페이지 정보

본문
행안부,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분석결과 발표
18.1% 경험…주 1~2회 41%, 부서장 57%로 많아
"간부 모시는 날 근절 위해 간부 인식 개선 필요"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2022년 5월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로 공무원들이 새정부 첫 출근을 하고 있다. 2022.05.10. dahora8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2/05/10/NISI20220510_0018784908_web.jpg?rnd=20220510091233)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2022년 5월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로 공무원들이 새정부 첫 출근을 하고 있다. 2022.05.10.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공무원 5명 중 1명은 최근 1년 내 직원들의 사비로 간부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이른바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1월 인사혁신처와 공동으로 실시한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간부 모시는 날'은 직원들이 순번을 정해 사비로 간부의 식사를 모시는 관행을 말한다. 이번 조사는 공직사회 내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는 문제 인식이 커짐에 따라 현황 파악과 개선방안 마련을 추진됐다.
실태 조사는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했으며 'e사랑'(중앙) 및 '인사랑'(지자체) 시스템을 통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중앙 6만4968명, 지자체 8만9349명 등 총 15만4317명이 참여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18.1%는 '최근 1년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중앙 10.1%, 지자체 23.9%였다.
간부 모시는 날 경험 빈도는 '주 1~2회'가 41.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월 1~2회(40.0%), 분기별 1~2회(12.6%), 연 1~2회(5.8%) 순이었다. 기관별로는 중앙은 월 1~2회(46.1%), 지자체는 주 1~2회(45.9%)가 많았다.
간부의 직급은 '부서장'(과장급)이 57.0%로 가장 높았다. 이어 국장급(33.6%), 팀장급(5.5%), 실장급 이상(3.9%) 순이었다.
![[서울=뉴시스]](https://img1.newsis.com/2025/01/16/NISI20250116_0001751654_web.jpg?rnd=20250116113427)
[서울=뉴시스]
간부 모시는 날 관행이 지속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37.8%가 '기존부터 지속되던 관행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간부가 인사 및 성과 평가 등의 주체이기 때문'(26.2%), '대화와 소통의 기회로 삼으려는 목적'(19.3%), '간부가 혼자 식사하는 것을 어려워하기 때문'(12.5%) 등의 응답도 뒤를 이었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의 91%는 '간부 모시는 날이 필요하지 않다'고 했으며, 이들 중 37.4%는 간부 모시는 날 근절을 위해 '간부 공무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기관장의 근절에 대한 강한 의지(29.2%)도 중요성으로 꼽혔다.
행안부는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이날 인사처, 국민권익위원회와 함께 중앙과 지자체 조직문화 담당 부서를 대상으로 간부 모시는 날 근절 관련 대책 회의를 개최한다.
회의에서는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해당 관행을 근절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또 간부 모시는 날을 신속하게 근절하기 위해 우선 기관장을 비롯한 간부들의 인식 개선을 추진하고, 계도 기간을 거쳐 추후 다시 실태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저연차 공무원들로 구성된 범정부 조직문화 혁신모임 '조직문화 새로고침(F5)' 구성원들이 직접 선정한 '조직문화 혁신 10대 권고사항'을 안내하고, 각 기관에서 이행하도록 당부할 예정이다.
10대 권고사항은 근무시간 외 무분별한 연락 자제, 눈치 야근 하지 않기, 연가 사용 눈치 주지 않기, 직급과 연차를 고려한 업무 분장, 신규 업무 추가 시 기존 업무 조정, 체계적인 인수·인계 등이다.
황명석 정부혁신국장은 "이번 실태 조사로 간부 모시는 날이 아직도 일부 조직에서 관행처럼 남아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며 "관계 기관과 함께 현 시점에서 맞지 않는 잘못된 관행을 적극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출처 : 뉴시스, 강지은 기자, 2025.01.16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우울할 때 편하게 상담받자"…'서울마음편의점' 3월부터 운영 25.01.16
- 다음글여성고용률 역대 최고지만…男 426만원 벌 때 女 278만원 벌었다 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