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역대 최대 2.7조원 들여 일자리 41만개 만든다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서울시, 역대 최대 2.7조원 들여 일자리 41만개 만든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123회 작성일 25-01-16 12:29

본문

청년취업사관학교·매력일자리로 인재 양성 지원

실업자·중고령층 위한 고용 안전망 구축도 강화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서울시가 역대 최대 규모 예산인 2조7천억원을 투입해 올해 직·간접 일자리 41만개를 만든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청년부터 중·장년, 취약계층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일자리 대책을 추진해 노동시장 안정화를 돕겠다는 취지다.

시는 이런 내용이 담긴 일자리 대책을 16일 발표했다.

시는 우선 41만개의 일자리 가운데 80%가량인 33만개의 일자리를 상반기에 공급할 방침이다. 경제 여건이 어려운 만큼 노동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한 조치다.

일자리는 시가 고용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창업 지원·취업 알선을 하는 '간접 일자리'와 시와 투자 출연기관이 직접 고용하는 '직접 일자리'로 나뉜다.

간접 일자리로는 '청년취업사관학교'(일자리 목표 1천575개), 민간형 '매력일자리'(1천750개), 여성 취업 알선 활동 강화(3만330개), 청년인턴 직무캠프(270개) 등이 있다.

시는 청년 인재 양성기관인 청년취업사관학교를 올해 5개소 추가로 조성해 총 25개소를 마련하고, 청년 IT·소프트웨어 개발자를 배출할 계획이다.

매력일자리는 구직자들이 AI·핀테크·블록체인 등 기업에서 경력을 쌓아 취업할 수 있도록 연계해주는 사업이다. 시는 소프트웨어 등 인력이 부족한 직군에는 외국인 유학생 100명 대상으로 한 매력일자리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청년인턴 직무캠프에 참여한 이들은 우수한 기업이나 국제기구에서 인턴으로 일하고 실제 취업에도 도전할 수 있다.

시는 또 여성 취·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취업 알선과 상담을 진행한다.

이밖에 시는 중견·중소기업 퇴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해 이·전직을 지원하고, 폐업 후 취업을 원하는 소상공인 200명에게 직업 훈련과 취업 연계 서비스를 할 예정이다.

직접 일자리로는 동행일자리(1만2천980개), 공공형 매력일자리(1천750개), 어르신 사회활동 지원(9만2천698개) 등이 있다.

동행일자리는 실업자, 일용 근로자 등 취약계층의 생계 지원을 위한 사업이다. 지하철 안전요원, 찾아가는 디지털 안내사, 저지대 침수예방 빗물받이 전담관리자가 있다.

공공형 매력일자리 사업은 공공 부문에서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 어르신 사회활동 지원은 '노노케어'나 시설 봉사 활동을 하는 어르신에게 활동비를 주는 정책이다.

서울시 일자리센터에서는 상담 창구를 운영해 취약계층 대상 구직자 맞춤형 고용 서비스를 한다. 이를 통해 6천명에게 일자리를 매칭한다는 게 목표다.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편, 시는 일·생활 균형 조직문화, 고용 안정성, 복지 혜택이 우수한 '서울형 강소기업' 50개를 새로 선정해 지원한다.

서울형 강소기업에 선정되면 서울 거주 18∼39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때 1인당 최대 1천500만원씩, 기업당 3명까지 총 4천500만원의 '근무환경개선금'을 받을 수 있다.

취업 박람회와 면접 정장 무료 대여 사업 '취업날개 서비스'도 운영한다.

시가 올해 시민에게 제공하는 일자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서울일자리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 일자리센터 직업 상담사에 문의해도 된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청년 인재를 양성하는 동시에 어려움을 겪는 중·고령층,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는 촘촘한 고용 안전망을 마련해 일하고 싶은 시민 누구나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출처 : 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2025.01.16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