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64% "지하철 '65세' 이상 무임승차 연령 상향 찬성"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서울시민 64% "지하철 '65세' 이상 무임승차 연령 상향 찬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39회 작성일 25-02-27 17:23

본문

[서울=뉴시스] 무임승차제도 연령 상향 찬반 결과. 2025.02.27. (도표=서울시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무임승차제도 연령 상향 찬반 결과. 2025.02.27. (도표=서울시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서울시민 10명 중 6명 이상이 현 65세 이상인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기준의 상향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서울시의회 등에 따르면, 여론조사 전문기관 위드리서치가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윤영희 의원(국민의힘·비례) 의뢰로 지난해 12월 11일부터 15일까지 서울시민 114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4.1%가 무임승차 연령 상향에 찬성했다. 반대 의견은 17.1%, 모르겠다는 응답은 18.8%였다.


무임승차 연령 상향에 찬성하는 주된 이유로는 청년 세대의 세금 부담 우려(38.7%)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37.0%)가 꼽혔다.

반대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의 교통비 부담(57.8%)과 세대 간 갈등 우려(21.3%)가 제시됐다.

지하철 적자와 무임승차 제도 간 관계를 묻는 질문에는 76.6%가 '적자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는 고령화 시대에 맞춰 나이 기준 조정이 필요하다(41.9%), 노인 기준을 높이면 재정 적자를 줄여 더 필요한 곳에 예산을 활용할 수 있다(27.0%)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23.4%는 무임승차가 적자의 주요 원인이 아니라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 정부 및 지자체 지원 부족(38.3%)과 노인 이용 비율이 높지 않아 결정적 원인이 아니다(32.3%)가 언급됐다.

제도 개선 대안 문항에는 취약계층(저소득층·장애인) 대상 바우처 제공(64.2%)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출퇴근 시간대 무임승차 제한(60.8%)이 뒤를 이었다.

윤영희 서울시의원은 "우리 사회는 이미 100세 시대에 접어들었으며 노인 기준 연령과 복지 정책도 이에 맞춰 변화해야 한다"며 "이번 조사 결과는 단순한 정책 변경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개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기사출처 : 뉴시스, 박대로 기자, 2025.02.27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