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인구 줄고 고령인구 늘고…65세 이상 첫 1000만 돌파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생산인구 줄고 고령인구 늘고…65세 이상 첫 1000만 돌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해경퇴직지원센터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7-30 15:10

본문

통계청,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 결과 발표

고령인구 1012만명…전년比 5.2% 올라 첫 천만대

15~64세 3626만명…19만명 감소·비율 70.0% 차지

[화천=뉴시스] 19일 화천군은 올해 지역 농업인들의 일손부족 일등공신인 계절 근로자 430명을 도입할 계획이다 고 밝혔다. 화천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화천=뉴시스] 19일 화천군은 올해 지역 농업인들의 일손부족 일등공신인 계절 근로자 430명을 도입할 계획이다 고 밝혔다. 화천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처음으로 1000만명을 넘어선 반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총 인구의 70.0%를 차지했다. 다만, 5년 전인 2019년만 해도 총 인구의 72.6%에 달했던 생산연령인구는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70% 마저 위태로운 상황이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12만2000명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전체인구의 19.5%에 이르는 수치로, 고령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21년 871만명이었던 고령인구는 2022년 915만명, 2023년 961만명으로 늘어난 후 1년 만에 51만명이 늘어나는 등 지속 증가세다.

일반가구 중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713만7000 가구로 전년 대비 4.7%(32만4000 가구) 증가했다.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일반가구의 32.0%, 고령자 1인 가구는 10.3%를 차지하고 있다. 두 비중 모두 역대 최대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18.0%를 기록했다.


cb344c7755d0de2249ed390cfc86cecb_1753855772_7952.jpg


외국인 고령인구는 12만1000명이다. 이에 따라 내국인 고령인구만 집계해도 1000만명을 넘어선다.

이와 반면 유소년인구와 생산연령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유소년인구(0~14세)는 지난해 542만1000명,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26만3000명을 기록했다. 전체 인구 중 유소년인구는 10.5%, 생산연령인구는 70.0%를 구성하고 있다.

전년 대비 유소년인구는 19만9000명(-3.5%), 생산연령인구는 28만3000명(-0.8%) 감소한 반면 고령인구는 51만3000명(5.3%) 증가했다.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이 2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조사 결과 2024년 11월 1일 기준 총인구는 5181만명으로 전년 대비 0.1% 증가했고 총 주택은 1만 9873호로 저년 대비 1.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7.29.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이 2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조사 결과 2024년 11월 1일 기준 총인구는 5181만명으로 전년 대비 0.1% 증가했고 총 주택은 1만 9873호로 저년 대비 1.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7.29. ppkjm@newsis.com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생산연령인구의 비율은 2015년에 73.4%로 고점을 찍은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며 "고령인구는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었고 시군구 간 노령화지수 격차는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86.7로 전년 대비 15.7 늘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인구는 14.9로 전년 대비 0.4 감소한 반면 노년부양비는 27.9로 1.6 증가했다.

노령화지수가 가장 높은 대구 군위군은 1188.7, 가장 낮은 세종시는 63.3으로 집계됐다. 시군구 간 노령화지수가 최대 19배 가량 차이나는 것으로 이는 전년도 18배보다 더 커진 수치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11일 서울 시내의 한 어르신 일자리센터에서 어르신들이 직업교육을 듣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층은 취업자가 전년 동월보다 37만명 늘면서 704만9000명에 달했고, 고용률(48.3%)도 0.9%포인트 상승했다. 60세 이상 취업자가 700만명을 넘어선 건 처음이다. 2025.06.11. ks@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11일 서울 시내의 한 어르신 일자리센터에서 어르신들이 직업교육을 듣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층은 취업자가 전년 동월보다 37만명 늘면서 704만9000명에 달했고, 고용률(48.3%)도 0.9%포인트 상승했다. 60세 이상 취업자가 700만명을 넘어선 건 처음이다. 2025.06.11. ks@newsis.com

기사출처 : 뉴시스, 임소현 기자, 2025.07.29
해양경찰퇴직지원센터 보도자료의 저작권은 해당언론사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